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인천부동산변호사, 부동산 매매계약취소, 어떻게 진행해야될까?
    법률정보 2025. 4. 2. 12:00

     

     

    안녕하세요. 법무법인 예우 인천부동산변호사 김용국입니다.

     

     

    오늘은 부동산 매매계약취소에 대해 자세하게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부동산 매매 계약을 체결하고 중도금을 이미 지급한 후 계약을 취소하려는 경우는 종종 발생합니다.

     

     

    김용국변호사

     

     

    많은 분들이 계약 취소를 원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중도금을 지급한 이후에는 계약을 취소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그 이유는 중도금 지급이 계약 이행의 시작으로 간주되기 때문입니다.

     

     

    중도금이 지급되면, 이는 계약의 이행이 시작된 것으로 판단됩니다. 법원은 이행의 착수를 채무 이행의 일부를 실행하거나 이행을 위한 준비를 진행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즉, 중도금이 지급되면 매매 계약이 진행 중이라는 의미로 해석되기 때문에, 계약을 일방적으로 취소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그렇다면, 계약금만 지급한 경우는 어떤가요? 계약금만 지급한 상태에서는 계약 이행이 시작되지 않았다고 보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계약 취소가 가능합니다.

     

     

    법무법인예우

     

     

    예를 들어, 매도인이 계약금을 두 배로 반환하거나 매수인이 계약금을 포기하면 계약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중도금이 이미 지급되었다면 이는 계약이 이미 이행된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계약을 취소하기 위해서는 다른 특별한 사정이 필요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예외적인 경우에는 중도금 지급 후에도 계약을 취소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러한 예외적인 경우에는 약정해제, 법정해제, 그리고 합의해제가 포함됩니다.

     

     

    약정해제는 계약서에 해지 사유를 미리 명시하고, 그 사유가 발생하면 계약을 해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입니다. 법정해제는 법적으로 정해진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 해당하며, 합의해제는 양 당사자가 합의하여 계약을 해지하는 방식입니다.

     

     

    인천부동산변호사

     

     

    인천부동산변호사, 부동산 매매 계약이 중도금 지급 후 취소되는 경우는 무엇이 있을까요?

     

     

    먼저, 당사자 간의 합의가 이루어진 경우가 있습니다. 매도인과 매수인이 서로 합의하여 계약을 해지하면, 이는 합의해제에 해당합니다.

     

     

    당사자들이 원만하게 합의에 도달하면 계약을 취소할 수 있지만, 실제로 양 당사자가 합의에 도달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이 방식으로 계약이 취소되는 사례는 많지 않습니다.

     

     

    다음으로, 부동산에 중대한 문제가 있는 경우에도 계약 취소가 가능합니다. 매도인은 매매 과정에서 부동산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매수인에게 고지할 의무가 있습니다. 만약 매수인이 부동산에 중대한 결함이나 중요한 정보를 사전에 알았다면 계약을 체결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커지며, 매도인이 중요한 사실을 숨겨서 거래가 이루어졌다면 이는 사기나 강박에 의한 의사표시로 볼 수 있습니다.

     

     

    부동산매매계약취소

     

     

    이와 같은 경우, 민법 제110조에 따라 계약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도금이 이미 지급되었더라도 계약을 무효화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계약 당사자가 약속을 어긴 경우에도 계약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매수인이 잔금을 지급해야 할 기일에 이를 일부 혹은 전부 지급하지 않았다면 이는 채무불이행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매도인 역시 계약상의 의무를 다하지 않았다면 채무불이행으로 간주되어 계약 해지가 가능합니다. 민법 제544조에 따르면, 상대방이 의무를 이행하지 않으면 일정 기간 이행을 촉구한 후에도 이행되지 않으면 계약을 해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채무불이행이 인정된다면, 중도금을 납입한 경우에도 계약을 취소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습니다.

     

     

    부동산매매계약취소방법

     

     

    부동산 매매 계약을 취소하고자 할 때, 그 과정에서 법적인 조언이 매우 중요합니다. 부동산 계약 취소로 인한 분쟁이 발생할 가능성은 매우 높기 때문에, 변호사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매도인의 채무불이행으로 계약이 해지되었다면, 매수인은 계약 해지로 인한 손해를 보상받기 위해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매도인도 계약 해지를 이유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때 법적인 지식이 부족하면 계약 취소가 적법한지, 손해배상 청구가 정당한지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부동산 매매 계약 취소로 인해 법적 분쟁이 발생할 경우, 반드시 법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부동산 소송은 계약의 금액이 크기 때문에, 소송에서 불리한 판결을 받을 경우 상당한 손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또한, 부동산 매매 계약 해지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법적 검토와 상담이 필수적입니다. 계약금 반환과 손해배상 문제를 포함한 법적 분쟁은 전문가의 조언을 통해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Designed by Tistory.